자동차 품질관리 4M과 6M 이란? 현대/기아자동차 및 협력업체에 근무하시는 분이라면 4M은 잘 알고 계실겁니다. 최근 현대/기아차에서는 6M 관리를 하고 있습니다. 자동차 산업에서의 4M과 6M은 품질의 기본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그래서 오늘은 4M과 6M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4M이란? Man, Material, Machine, Method를 애기합니다. M으로 시작하는 단어가 4개여서 4M입니다. 여기 4가지 항목에서 대해는 제품을 만들때 변경되는 부분이 발생하면 안됩니다. Man : 작업장 내에 설치되어 있는 설비를 운정하는 오퍼레이터 Machine : 제품을 만드는데 필요하여 설치한 설비 Material : 제품을 생산하는데 제품을 구성하는 있는 각종 원재료 (원부자재) Metho..
자동차 산업 품질 인증제도 IATF 16949 란? (TS16949 개정) 자동차 산업 품질 인증제도 IATF 16949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자동차 산업 품질 인증제도 IATF 16949 자동차 산업 품질 인증제도이며 IATF (International Automotive Task)에서 발행하고 있습니다. IATF 16949는 자동차 산업계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품질 경영 시스템이며 국제 표준입니다. 예전에는 TS16949였지만, IATF 16949로 개정되었습니다. 자동차 산업 품질 인증제도 IATF 16949 목적 자동차 부품 관련 조직의 지속적 개선, 부적합 예방과 산포 및 낭비의 감소를 목적으로 하고 있다. 자동차 산업 품질 인증제도 IATF 16949 필요성 IATF 16949는 ..
PPAP (Part Production Approved Process) 이란? PPAP는 부품 생산 승인 프로세스라는 뜻입니다. PPAP은 미국의 Big 3 및 독일 및 기타 완성차 업체에서 사용하는 부품 승인서류입니다. 미국의 자동차 Big 3가 협력업체의 신규 부품 및 기존 부품의 변경사항 발생시 요구품질수준을 검증하기 위하여 만든 양산부품을 승인하는 절차라고 보도 됩니다. PPAP의 기본서류는 PSW (Part Submission Warrant) 초도품보증서 입니다. 보통 현대 기아차는 ISIR이라고 표면을 하는데요 IATF16949에서는 PPAP이라는 용어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ISIR과 PPAP는 거의 동일하다고 보면 됩니다. ★연관글★ [개발 & 품질 이야기] - ISIR & ESIR 자 이제..
ESIR & ISIR 오늘은 자동차 용어인, ESIR과 ISIR에 대해서 알아볼게요. 자동차 쪽에 일하고 계시면 많이 들어 보게 되는 용어인데요, 개발이나 품질 담당하시는 분들은 많이 들어보게 됩니다. ISIR ( Initial Sample Inspection Report) 초도품 검사 보고서라는 뜻입니다. 자동차 업계에서는 자동차 양산전에 ISIR을 작성하여 고객에 제출하고 승인을 받아야 양산을 할 수가 있습니다. 수요자의 설계 사양 및 요구조건이 부품 공급자에게 정확히 인지하고 있는지를 확인하고 요구 조건을 만족하며, 완성차 양산시 고객의 품질 요구 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해 작성되는 보고서라고 보시면 됩니다. 제출 서류는 1. 초도품 보증서 2. 검사 협정서 3. 검사 기준서 4. 신뢰성 성적서 5. ..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bcCybH/btqxM6IDCio/vKGBkhs3r7l9GZKC7BF1Q1/img.jpg)
APQP 란? 사전제품품질계획서 APQP (Advanced product quality planning)란 사전제품품질계획라는 뜻입니다. 개발 용어로 보시면 됩니다. 사전에 제품의 품질을 확보할수 있는 계획을 잘 만들어서 완성 단계에서 문제가 발생하지 않게 하고자 하는 것입니다. (불량 없는 물건 만들자입니다) 자동차 한 대를 만드는 데는 엄청 많은 부품이 만들어져 조립이 됩니다.. 한대당 부품이 2만 개가 넘는다고 합니다. 완성차 브랜드가 하나가 있고 그 밑으로 엄청나게 많은 협력 업체가 있는 거죠. 완성차 및 협력사들은 APQP라는 시스템으로 부품을 개발하게 됩니다. 이 시스템을 이용하지 않는 업체도 있겠지만, 대부분 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완성차에 납품하려면 기본적인 시스템을 갖처줘야 하기 때문에 ..
FMEA RPN 지수 계산하기 FMEA에서 RPN 지수에 따라 권고조치 사항이 생기고, 그것을 개선 활동을 하면서 공정을 개선하게 됩니다. RPN은 심각도 (Severity), 검출도(Detiction), 발생도(Occurrence) 값을 곱한 값입니다. 위험우선순위(RPN) = 심각도(S)×발생도(O)×검출도(D) 위험운선순위(RPN)을 구하고, 점수가 높은 순부터 개선하시면 됩니다. 시간이 많아서, 전부 개선하시면 좋겠지만 대부분 그럴 수 없기 때문에, 관리규정에 정한 기준에 의해 권고조치를 시행합니다. 권고조치를 시행하고 나면, 심각도, 발생도 그리고 검출도 점수가 변화가 생깁니다. 보통 내려갔겠죠? 그럼 위험우선순위가 바뀌게 됩니다. 그럼 다시 높은 것을 개선하면 됩니다. ^^ 불량 제로를 위해 ..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qMdwd/btqv7ZpIlVv/SriG05kCcaqnDnynBCzDq0/img.jpg)
FMEA 작성 방법 (기본) FMEA (Failure Mode and Effect Analysis) 작성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신규 아이템 개발때 마다 FMEA를 작성하게 됩니다. 항상 작성하지만 인증심사때마다 지적 받습니다. 매번 작성할때 마다 헷갈리고, 여러가지로 어려움이 많습니다. 같이 작성하는 방법에 대해서 공부하면 좋을것 같습니다. 아래는 기본적인 FMEA 양식입니다. 그림 보면서 간략하게 설명 드리겠습니다. 양식은 회사에 맞게 조금씩 변경하시면 될것 같습니다. FMEA 번호 : 이전 개발품 작성 시, 번호가 있을것입니다. 그리고 이번호는 회사마다 따는 방법이 있고 그것을 기준으로 작성하시면 됩니다. 예) OD-F-01 'OD'는 회사 약자 'F'는 FMEA약자이고 '01'는 첫..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cORLDl/btqv16o7woj/ivxsoDGcajyew896MlmK4K/img.png)
FMEA란? 품질/개발 관련하여 많이 나오는 용어인데, 오늘은 FMEA에 대해서 알아 보겠습니다. FMEA (Failure Mode and Effect Analysis) 잠재적 고장형태 및 영향 분석이라는 뜻입니다. 기계 부품 (시스템)의 고장이 기계(시스템) 전체에 미치는 영향을 예측하는 해석 방법으로 기계 부품등의 기계요소가 고장을 일으킨 경우 기계 전체가 받는 영향을 규명해 나가는 것 입니다.개개의 구성요소에 대하여 심각도 발생도 검출도를 계산하고 종합적인 RPN을 계산하여 높은 수치가 나온것을 집중적으로 관리 및 개선하는 것입니다. 즉 제품 개발 초기 단계에서 사전에 위험 요소를 제거하기 위한 목적으로 활용됩니다. FMEA 역사 1950년대 미국 국방성에서 무기 체제 분석 및 아폴로 계획의 원할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