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FMEA RPN 지수 계산하기

FMEA RPN 지수 계산하기 FMEA에서 RPN 지수에 따라 권고조치 사항이 생기고, 그것을 개선 활동을 하면서 공정을 개선하게 됩니다. RPN은 심각도 (Severity), 검출도(Detiction), 발생도(Occurrence) 값을 곱한 값입니다. 위험우선순위(RPN) = 심각도(S)×발생도(O)×검출도(D) 위험운선순위(RPN)을 구하고, 점수가 높은 순부터 개선하시면 됩니다. 시간이 많아서, 전부 개선하시면 좋겠지만 대부분 그럴 수 없기 때문에, 관리규정에 정한 기준에 의해 권고조치를 시행합니다. 권고조치를 시행하고 나면, 심각도, 발생도 그리고 검출도 점수가 변화가 생깁니다. 보통 내려갔겠죠? 그럼 위험우선순위가 바뀌게 됩니다. 그럼 다시 높은 것을 개선하면 됩니다. ^^ 불량 제로를 위해 ..

개발 & 품질 이야기 2019. 7. 8. 00:36
FMEA 작성 방법 (기본)

FMEA 작성 방법 (기본) FMEA (Failure Mode and Effect Analysis) 작성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신규 아이템 개발때 마다 FMEA를 작성하게 됩니다. 항상 작성하지만 인증심사때마다 지적 받습니다. 매번 작성할때 마다 헷갈리고, 여러가지로 어려움이 많습니다. 같이 작성하는 방법에 대해서 공부하면 좋을것 같습니다. 아래는 기본적인 FMEA 양식입니다. 그림 보면서 간략하게 설명 드리겠습니다. 양식은 회사에 맞게 조금씩 변경하시면 될것 같습니다. FMEA 번호 : 이전 개발품 작성 시, 번호가 있을것입니다. 그리고 이번호는 회사마다 따는 방법이 있고 그것을 기준으로 작성하시면 됩니다. 예) OD-F-01 'OD'는 회사 약자 'F'는 FMEA약자이고 '01'는 첫..

개발 & 품질 이야기 2019. 6. 16. 14:40
이전 1 다음
이전 다음

티스토리툴바

이메일: yuri4321@naver.com | 운영자 : 데오그라시스1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제작 : 아로스
Copyrights © 2022 All Rights Reserved by (주)아백.